기공 (국선도)/기공

화타오금희(華佗五禽戲)

물흐듯 2015. 4. 2. 11:26

화타오금희(華佗五禽戲)

 

1. 개요

 오금희는 한대(漢代) 신의(神醫) 화타(華陀)가 전하는 도인술(導引術)의 원류로 건강단련과 질병치료, 수명연장의 의료체조이다. 과거 복잡하고 미완성인 양생술을 종합하고 의학, 오행, 운화의 법칙에 의거하여 자연 속의 호랑이,사슴, 곰, 원숭이, 새 등의 다섯 동물의 운동 형태와 생장 특성을 결합함으로써 인체의 심장(心), 간(肝), 비장(脾), 폐(肺), 신(腎)의 단련에 배합시켰다.

이는 1800여 년의 오랜 시간 동안 발전하여, 양생보건에 대한 독특한 공법과 효능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권술(拳術)의 초기 형태와 기본공부가 된다.

 

 화타오금희의 기본 심법은 ①허기심(虛其心 : 마음을 텅 비우다), ②실기복(實其服 : 배를 든든하게 채우다), ③강기근(强其筋: 근육을 강하게 하다), ④약기골(弱其骨 :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등 네 가지이다. 각각의 오금희 동작에 이 심법은 모두 갖추어져 있다.

 

시선을 일정한 곳에 두고, 탁한 기운을 움직여 내보내고 맑은 기운을 거두어들이며, 생각으로 기를 이끌고 맑은 마음을 충만하게 해야 한다. 오래도록 나태하지 않고 수련하면 정신이 충만하고 기가 충족되어 노화가 방지되고 젊은이와 같은 건강을 찾아 무병장수한다는 것이 화타오금희의 요체다.

호추불두, 유수불부(戶樞不蠧, 流水不腐) “문지도리는 좀이 슬지 않고,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화타오금희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가장 체계적이고 또한 화타의 원의(原意), 고의(古意)를 풍부하게 담고 있는 것으로는 대만 장경영(張鏡影) 노사가 '古式華佗五禽戱'(125식)를 전수받아 수련하여 전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장경영-곽정헌) 

장경영은 대륙 사천성 청성산에서 전승하여 1949년 대만으로 건너와 살게 됨으로써 그 이후 대만에서 전래되었다.

장경영 노사가 80년대 타계할 때까지는 古式華佗五禽戱가 대만에서 소수인들에게 가르쳐졌지만, 그 이후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형대와 형식이 다소 바뀌어 간화식으로 여러 형태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간화식도 96식, 84식, 56식, 10식 등 다수가 있는데, 곽정헌의 84식도 간화식 화타오금희이다.

 

2. 효과

 신체적 반응 속도 향상
 근력 강화
 유연성과 평형유지력 제고

 폐활량, 심장, 혈압 상태 개선
 골밀도 강화
 중노년의 심리적 건강 증진, 부정적인 정서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이고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개선

 

3. 수련상 주의사항

 외형과 표정,동작은 모두 오금을 닮아야 한다.

 수련은 지속적으로 순서에 따라 한다
 온몸의 힘을 빼야 한다
 의식을 하단전에 집중해야 한다
 호흡을 자연스럽게 고르게 해야 한다

4. 동영상

 강의 : 곽정헌 교습 동영상 youtu.be/hU0IRcQlsw4

 

(전체 동작시연 : 36분부터~~시청)

 

[곽정헌 교습]

1. 1단 ~ 9단 연속

***www.youtube.com/watch?v=MthS_oB3-9I&list=PL951760FA94CC1887

2. 각 단별 구분

1993五禽之戲-1-預備功.flv youtu.be/MthS_oB3-9I

1993五禽之戲-2-正朝陽.flv youtu.be/YX0MNzA2vhY

1993五禽之戲-3-右朝陽.flv youtu.be/64LGaxjf3tI

1993五禽之戲-4-金雞孵蛋.flv youtu.be/7UmKq3An204

1993五禽之戲 5 大鵬展翅 youtu.be/FSfPgYenN9o

1993五禽之戲-6-孔雀開屏.flv youtu.be/f7n2T-lmyvY

1993五禽之戲-7-喜鵲登枝.flv youtu.be/KUYOxh4r_9E

1993五禽之戲-8-丹鳳朝陽.flv youtu.be/pOS2n_kjqgg

1993五禽之戲-9-收功.flv youtu.be/HL0-s5ifWP4

 

참고 동영상(김성기 : youtu.be/_HnDN9CBaR0?t=21     

 

 

**張鏡影先生生前演練錄影 youtu.be/grNn0QrLodo

 

 **구령녹음-蘇會長華陀五禽之戲 youtu.be/7Bqtff9oChU

 

華佗五禽之戲 구령(背視13분/남) youtu.be/o4MjAaexSsc

    華佗五禽之戲 구령(背視20분/여)youtu.be/C7HK1um0NUs?t=74  

華陀五禽之戲{口令加字幕}11분  youtu.be/IavijGtPJ4w

 

[華佗五禽之戱 동작명칭]

 

제 1 절 예비공 (預備功)

1. 녹참원조(鹿站遠眺) : 사슴이 서서 멀리 바라보다.

2. 웅부신요(熊俯身腰) : 곰이 몸과 허리를 구부리다.

3. 백원헌과(白猿獻果) : 흰 원숭이가 과일을 바치다.

4. 조전쌍시(鳥展雙翅) : 새가 양쪽 날개를 펼치다.

5. 호송견배(虎鬆肩背) : 호랑이가 어깨와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제 2 절 단봉조양 (丹鳳朝陽) : 봉황새가 해를 바라보다.

1. 원비정거(猿臂正擧) : 원숭이가 팔을 바로 들다.

2. 백학장흉(白鶴長胸) : 흰 학이 가슴을 펴다.

3. 호송견배(虎鬆肩背) : 호랑이가 어깨와 등을 부드럽게 풀어주다.

4. 웅반족첨(熊攀足尖) : 곰이 발끝을 잡다.

5. 녹운척미(鹿運脊尾) : 사슴이 등뼈와 꼬리를 움직이다.

6. 원비우거(猿臂右擧) : 원숭이가 팔을 오른쪽으로 들다.

7. 우호박식(右虎撲式) : 오른쪽으로 호랑이가 치는 형세를 하다.

8. 학전좌시(鶴展左翅) : 학이 왼쪽 날개를 펼치다.

9. 좌운웅경(左運熊經) : 좌측으로 곰이 몸통을 움직이다.

10.우유녹경(右揉鹿頸) : 오른쪽으로 사슴이 목을 휘게 하다.

11.학전우시(鶴展右翅) : 학이 오른쪽 날개를 펴다.

12.박협강간(拍脇强肝) : 옆구리를 두들겨 간을 강하게 하다.

 

제 3 절 금계부단 (金鷄孵蛋) : 금닭이 알을 까다.

1. 호거침좌(虎踞沈坐) : 호랑이가 깊숙히 앉아 웅크리다.

2. 원서우비(猿舒右臂) : 원숭이가 오른팔을 펴다.

3. 원서좌비(猿舒左臂) : 원숭이가 왼팔을 펴다.

4. 웅준우포(熊蹲右抱) : 곰이 쭈그리고 오른쪽으로 감싸 안다.

5. 원서좌비(猿舒左臂) : 원숭이가 왼팔을 펴다.

6. 금계독립(金鷄獨立) : 금 닭이 한발(왼발)로 서다.

7. 학선우시(鶴搧右翅) : 학이 오른쪽 날개를 퍼덕이다.

8. 우선녹분(右旋鹿奔) : 오른쪽으로 돌아서 사슴이 달리다.

9. 노호수산(怒虎搜山) : 성난 호랑이가 산을 훑어보다.

10.원서우비(猿舒右臂) : 원숭이가 오른팔을 펴다.

11.웅준좌포(熊蹲左抱) : 곰이 쭈그리고 왼쪽으로 감싸 안다.

12.백학포흉(白鶴抱胸) : 흰 학이 가슴을 감싸 안다.

13.영원적과(靈猿摘果) : 영리한 원숭이가 과일을 따다.

 

제 4 절 대붕전시 (大鵬展翅) : 대붕이 날개를 펴다.

1. 호선우좌(虎旋右坐) : 호랑이가 돌아서 오른쪽으로 앉다.

2. 원섬좌반(猿閃左盤) : 원숭이가 재빨리 왼쪽으로 돌아앉다.

3. 금계독립(金鷄獨立) : 금 닭이 한발(오른발)로 서다.

4. 영원지일(靈猿指日) : 영리한 원숭이가 해를 가리키다.

5. 녹앙회고(鹿仰回顧) : 사슴이 우러러 뒤돌아보다.

6. 웅운요과(熊運腰胯) : 곰이 허리와 사타구니를 움직이다.

7. 금계독립(金鷄獨立) : 금 닭이 한발(왼발)로 서다.

8. 서우망월(犀牛望月) : 물소가 달을 쳐다보다.(오른쪽)

9. 서우망월(犀牛望月) : 물소가 달을 쳐다보다.(왼쪽)

10.백학포단(白鶴抱丹) : 백학이 단전을 감싸다.

11.원리삼초(猿理三焦) : 원숭이가 삼초를 다스리다.

12.웅연장부(熊蠕臟腑) : 곰이 내장을 꿈틀거리게 하다.

13.맹호하산(猛虎下山) : 용맹한 호랑이가 산을 내려오다.

14.녹인우반(鹿引右盤) : 사슴이 끌어당기고 오른쪽으로 돌아앉다.

15.백학요보(白鶴拗步) : 백학이 비틀어 요보자세를 하다.

16.웅고호거(熊靠虎踞) : 곰이 기대고 호랑이가 웅크린다.

 

제 5 절 공작개병 (孔雀開屛) : 공작이 병풍처럼 꼬리를 펼치다.

1. 원비반신(猿臂反伸) : 원숭이가 팔을 거꾸로 펴다. - 오른쪽

2. 웅운견과(熊運肩跨) : 곰이 어깨와 사타구니를 움직이다.

3. 호장조박(虎掌抓撲) : 호랑이가 발톱으로 긁고 치다.

4. 백학장흉(白鶴長胸) : 흰 학이 가슴을 펴다.

5. 치안고반(鴟眼顧盼) : 올빼미가 눈을 부릅뜨고 뒤돌아 보다.

6. 백망번신(白蟒翻身) : 흰 구렁이가 몸을 뒤집다.

7. 흑웅도반(黑熊倒攀) : 흑 곰이 거꾸로 매달리다.

 

l 전신안마 全身按摩:

1. 구타후요 扣打後腰 뒤 허리를 치다(두드리다)

2. 고타소복 叩打小腹 배를 두드리다

3. 박타흉측 拍打胸側 가슴 측면을 치다

4. 안압각지 按壓腳趾

5. 안마하지양측 按摩下肢兩側

6. 족삼리, 위중혈 足三里, 委中穴

7. 삼음교 三陰交

8. 내외과 內外踝

9. 차수 搓手

10. 목면 沐面

11. 소두 梳頭

12. 유이수 揉耳輪

13. 명천고 鳴天鼓

14. 진이고 震耳鼓

15. 차지창 搓地倉

16. 태양혈 太陽穴

17. 찰안렴 擦眼簾

18. 찰비측 擦鼻側

8. 원비반신(猿臂反伸) : 원숭이가 팔을 거꾸로 펴다. - 왼쪽

9. 영원적과(靈猿摘果) : 영리한 원숭이가 과일을 따다.

 

제 6 절 희작등지 (喜鵲登枝) : 까치가 나뭇가지에 오르다(앉다)

1. 호박녹분(虎撲鹿奔) : 호랑이가 내리치고 사슴은 달리다.

2. 우학독립(右鶴獨立) : 오른쪽으로 학이 외발로 서다.

3. 녹저등제(鹿抵蹬蹄) : 사슴이 뿔로막고 발굽으로 밟다. - 왼쪽

4. 웅좌반좌(熊左盤坐) : 곰이 왼쪽으로 돌아 앉다.

5. 좌학독립(左鶴獨立) : 좌측으로 학이 외발로 서다.

6. 녹저등제(鹿抵蹬蹄) : 사슴이 뿔로 막고 발굽으로 밟다. - 오른쪽

7. 원우타호(猿右打虎) : 원숭이가 오른쪽으로 호랑이를 때리다.

8. 웅좌항고(熊左抗靠) : 곰이 왼쪽으로 버티며 기대다.

9. 요보조신(拗步鳥伸) : 요보자세에서 새가 날개를 펴다.

10.호박반추(虎撲反捶) : 호랑이가 치고 반대쪽으로 때리다.

11.녹선좌반(鹿旋左盤) : 사슴이 돌아서 왼쪽으로 돌다.

12.웅우항고(熊右抗靠) : 곰이 오른쪽으로 버티며 기대다.

13.웅좌항고(熊左抗靠) : 곰이 왼쪽으로 버티며 기대다.

14.원섬녹인(猿閃鹿引) : 원숭이가 재빨리 돌고 사슴이 끌어당기다.

15.우전호좌(右轉虎坐) : 오른쪽으로 돌며 호랑이가 앉다.

16.전후호장(前後虎掌) : 앞뒤로 호랑이가 손바닥을 치다.

17.백학비상(白鶴飛翔) : 백학이 비상하다(날다).

 

제 7 절 단봉조양 (丹鳳朝陽) : 봉황새가 해를 바라보다.

1. 원비좌거(猿臂左擧) : 원숭이가 팔을 왼쪽으로 들다.

2. 호조하좌(虎抓下坐) : 호랑이가 발톱으로 긁어 아래로 앉다.

3. 학전우시(鶴展右翅) : 학이 오른쪽 날개를 펼치다.

4. 우운웅경(右運熊經) : 곰이 몸통을 오른쪽으로 돌려 움직이다.

5. 좌유녹경(左揉鹿頸) : 사슴이 목을 왼쪽으로 휘게 하다.

6. 원비좌거(猿臂左擧) : 원숭이가 팔을 왼쪽으로 들다.

7. 호조하좌(虎抓下坐) : 호랑이가 발톱으로 움켜 당기며 아래로 앉다.

8. 원비우거(猿臂右擧) : 원숭이가 팔을 오른쪽으로 들다.

9. 전신수세(轉身收勢) : 몸을 돌려 자세를 거두어 들이다.

 

제 8 절 수공(收功)

1. 선유녹경(旋揉鹿頸) : 사슴이 목을 돌리며 휘게 하다.

2. 웅황치고(熊晃鴟顧) : 곰이 몸을 흔들고 올빼미가 뒤돌아보다.

3. 선호배월(仙狐拜月) : 신령한 여우가 달을 보고 절하다.

 

[화타오금희]

1 예비공 (預備功)

1. 녹참원조(鹿站遠眺)

2. 웅부신요(熊俯身腰)

3. 백원헌과(白猿獻果)

4. 조전쌍시(鳥展雙翅)

5. 호송견배(虎鬆肩背)

 

2 단봉조양 (丹鳳朝陽)

@1. 원비정거(猿臂正擧)

@2. 백학장흉(白鶴長胸)

@3. 호송견배(虎鬆肩背)

@4. 웅반족첨(熊攀足尖)

@5. 녹운척미(鹿運脊尾)

6. 원비(猿臂右擧)

7. 호박식(右虎撲式)

8. 학전(鶴展左翅)

9. 운웅경(左運熊經)

10.유녹경(右揉鹿頸)

11.학전(鶴展右翅)

12.박협강간(拍脇强肝)

 

3 금계부단 (金鷄孵蛋)

1. 호거침좌(虎踞沈坐)

2. 원서(猿舒右臂)

3. 원서(猿舒左臂)

4. 웅준(熊蹲右抱)

5. 원서(猿舒左臂)

6.금계독립(金鷄獨立)<>

7. 학선(鶴搧右翅)

8. 선녹분(右旋鹿奔)

9.노호수산(怒虎搜山)<>

10.원서(猿舒右臂)

11.웅준(熊蹲左抱)

12.백학포흉(白鶴抱胸)

13.영원적과(靈猿摘果)

4 대붕전시 (大鵬展翅)

1. 호선좌(虎旋右坐)

2. 원섬(猿閃左盤)

3.금계독립(金鷄獨立)<>

4.영원지일(靈猿指日)

5.녹앙회고(鹿仰回顧)

6. 웅운요과(熊運腰胯)

7.금계독립(金鷄獨立)<>

8.서우망월(犀牛望月)<>

9.서우망월(犀牛望月)<>

10.백학포단(白鶴抱丹)

11.원리삼초(猿理三焦)

12.웅연장부(熊蠕臟腑)

13.맹호하산(猛虎下山)

14.녹인(鹿引右盤)

15.백학요보(白鶴拗步)

16.웅고호거(熊靠虎踞)

 

5 공작개병 (孔雀開屛)

1.원비반신(猿臂反伸)<>

2. 웅운견과(熊運肩跨)

3. 호장조박(虎掌抓撲)

4. 백학장흉(白鶴長胸)

5. 치안고반(鴟眼顧盼)

6. 백망번신(白蟒翻身)

7. 흑웅도반(黑熊倒攀)
   <전신안마>

8.원비반신(猿臂反伸)<>

9. 영원적과(靈猿摘果)

 

[전신안마 全身按摩]

1. 구타후요 扣打後腰

2. 고타소복 叩打小腹

3. 박타흉측 拍打胸側

4. 안압각지 按壓腳趾

5.안마하지양측按摩下肢兩側

6. 足三里, 委中穴

7. 삼음교 三陰交

8. 내외과 內外踝

9. 차수 搓手

10. 목면 沐面

11. 소두 梳頭

12. 유이수 揉耳輪

13. 명천고 鳴天鼓

14. 진이고 震耳鼓

15. 차지창 搓地倉

16. 태양혈 太陽穴

17. 찰안렴 擦眼簾

18. 찰비측 擦鼻側

6 희작등지 (喜鵲登枝)

1. 호박녹분(虎撲鹿奔)

2. 학독립(右鶴獨立)

3.녹저등제(鹿抵蹬蹄)<>

4. 반좌(熊左盤坐)

5. 학독립(左鶴獨立)

6.녹저등제(鹿抵蹬蹄)<>

7. 타호(猿右打虎)

8. 항고(熊左抗靠)

9. 요보조신(拗步鳥伸)

10.호박반추(虎撲反捶)

11.녹선(鹿旋左盤)

12.항고(熊右抗靠)

13.항고(熊左抗靠)

14.원섬녹인(猿閃鹿引)

15.전호좌(右轉虎坐)

16.전후호장(前後虎掌)

17.백학비상(白鶴飛翔)

 

7 단봉조양 (丹鳳朝陽)

1. 원비(猿臂左擧)

2. 호조하좌(虎抓下坐)

3. 학전(鶴展右翅)

4. 운웅경(右運熊經)

5. 유녹경(左揉鹿頸)

6. 원비(猿臂左擧)

7. 호조하좌(虎抓下坐)

8. 원비(猿臂右擧)

9. 전신수세(轉身收勢)

 

8 수공(收功)

1. 선유녹경(旋揉鹿頸)

2. 웅황치고(熊晃鴟顧)

3. 선호배월(仙狐拜月)

[참고자료]

● 대만 전통식 화타오금희의 한국소개 - 도인법연구회

대만에 전해진 전통고식화타오금희의 본래모습을 대중적으로 공공연히 한국에 처음 알린 것은 「도인법 연구회」가 최초입니다. 도인법연구회는 태극권과 도인법을 전문적으로 연구보급해 오던 밝은빛에서 도인법의 보다 효율적인 대중보급을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입니다.

 

그 이전의 대만계통 오금희는 전통식을 축약하거나 동작을 생략한 간화식이었습니다. 전통식의 존재나 그 관련 용어들은 2010년 7월 <고식화타오금희>.(도서출판 밝은빛) 출판 이전에는 한국의 대중에게 제시된 적이 없습니다. 전통식 오금희의 7글자 동작 명칭들도 그 이전에 간화된 오금희가 상당기간 교습되었어도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전통식의 오금희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삼합작용이라는 용어와 설명 또한 한국의 기존 화타오금희에서 언급된 적이 없습니다. 전통 수련 및 무술이나 도인기공에서는 내삼합과 외삼합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동작의 형태적 기준을 말하는 외삼합은 본래 ‘수족(手足)-주슬(肘膝)-견과(肩胯)’의 조합을 통한 신체 전체의 바른 규격을 말하는 것입니다. 동작에 있어 형태를 규정하는 외삼합을 수신족의 ‘삼합’이라고 도인법 연구회에서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도인법 연구회 이외의 화타오금희를 연습하시거나 지도하는 분들 중 이런 설명법을 마치 자신들에게 본래 있었던 것처럼 언급하면서 당연시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 이전에는 설명한 적도, 용어를 사용한 적도 없으면서요. 삼합작용의 개념을 알고 계셨는지도 의문입니다. 그리고 동작에 개념을 넣어서 연습하게 되면 동작이 어떤 규격을 가지게 됩니다. 개념과 일치하지 않는 동작을 연습한다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규격이 깨지고, 설명이 일관되지 않겠지요. 일반적인 도인체조 수련시 아예 동작의 구체적 설명이 없고, 그냥 열심히 하라고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공개된 장소에서 비교해서 동작 강의를 한다면 금방 진위가 드러날 것입니다.

 

 

● 장경영 선생의 오금희 교습

대만 장경영 선생의 화타오금희는 1956년에 처음 교습되었습니다. 첫 교습시 80여명의 학생이 시작했지만, 마지막에는 단 두사람만 남게 되었습니다. 평생 무술과 도인 및 오금희를 지도한 이청한 선생과 무용을 전공한 왕려혜 선생 입니다. 이청한 선생은 그때의 필기 노트를 지금도 가지고 계십니다.(이청한 선생은 중국의 무술과 기공 및 전통의학을 해외에 크게 펼친 공로로 2009년에 전통문화 관련 대만정부에서 주는 훈장과 상을 수여받았습니다.) 1967년~1969년의 3년간 장경영, 이청한 두 분은 명전여자상전(銘傳女子商專)에서 함께 재직하였으며 항상 각종 공법(功法)과 그 요의(要義)에 대해 담론(談論)하였습니다.

 

고식화타오금희는 그 이후에 여러 사람들에게 교습되었습니다. 특히 유명한 태극권사인 웅양화 선생은 장경영 선생과 친분이 깊어 그의 제자들은 장경영 선생의 오금희를 연습했습니다. 웅양화 선생의 태극권 제자인 마정기 선생도 02년 밝은빛의 초청으로 방한시 화타오금희와 태극권을 병행해서 지도했다고 회술하였습니다.

 

간화식을 제정해 출판한 곽정헌 선생도 처음에는 웅양화 선생의 제자였다가 오금희의 인연을 갖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현재 세상에 알려진 곽정헌 선생의 간화식 오금희는 본래의 전통 고식오금희중 양쪽의 자세에서 한쪽을 빼거나 중복동작을 생략한 형태로 정리되었습니다. 곽정헌 선생의 간화식 오금희는 그 문도들에 의해 보급되었고 독자적으로 연습되었습니다.

 

 

● 전통고식 화타오금희의 출판과 교재들

곽정헌 선생이 축약시킨 간화식 형태의 오금희가 90년도에 출판되었습니다. 하지만 전통고식 화타오금희는 그 이전부터 교습되어 왔으며 관련 교재들도 이미 출판되어 있었습니다.

76년에 정가정(程家鼎) 편저<건강장수수행법>.(진선미출판)라는 교재에 동작의 대부분이 소개되었습니다.

 

83년도에는 장경영 선생에 의해 전해진 대만 화타오금희의 원형을 보여주는 웅수운 선생의 <무예습금>(화련출판사)이라는 책이 출판되었습니다. 웅수운 선생은 웅양화 선생의 조카이자 제자입니다. 특히 <무예습금>의 고식화타오금희는 120여 동작으로 가장 방대한 형태인데, 이를 통해 후대에 정리된 간화식의 동작 중 삭제나 축약상황을 알 수 있으며, 전통식의 기준이 되는 책입니다. 웅수운 선생의 동작 사진들은 곽정헌 선생이 출판한 간화식의 동작과 크게 차이가 납니다. 중심이나 수형 및 동작의 유무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출처] 전통 고식 화타오금희의 유래 01 [밝은빛태극권]|

1 備功bèigōng)

1. 鹿站lùzhàn遠眺yuǎntiào)

2. xióng俯身fǔshēnyāo)

3. 白猿báiyuán獻果xiànguǒ)

4. 鳥展niǎozhǎn雙翅shuāngchì)

5. 虎鬆hǔsōng肩背jiānbèi)

 

2 丹鳳dānfèng朝陽cháoyáng)

1. 猿臂yuánbì正擧zhèngjǔ

2. 白鶴báihèchángxiōng)

3. 虎鬆hǔsōng肩背jiānbèi)

4. 熊攀xióngpān足尖zújiān)

5. 鹿運lùyùn脊尾jǐwěi)

6. 猿臂yuánbì右擧yòujǔ)

7. 右虎yòuhǔ撲式pūshì)

8. 鶴展hèzhǎn左翅zuǒchì)

9. 左運zuǒyùn熊經xióngjīng)

10.yòuróu鹿頸lùjǐng)

11.鶴展hèzhǎn右翅yòuchì)

12.拍脇pāixié强肝qiánggān)

 

3 金鷄jīnjī孵蛋fūdàn)

1. 虎踞hǔjù沉坐chénzuò)

2. 猿舒yuánshū右臂yòubì)

3. 猿舒yuánshū左臂zuǒbì)

4. 熊蹲xióngdūnyòubào)

5. 猿舒yuánshū左臂zuǒbì)

6. 金鷄jīnjī獨立dúlì)<>

7. 鶴搧hèshān右翅yòuchì)

8. yòu旋鹿xuánlùbēn)

9. 怒虎nùhǔ搜山sōushān)<>

10.猿舒yuánshū右臂yòubì)

11.熊蹲xióngdūnzuǒbào)

12.白鶴báihèbàoxiōng)

13.灵猿língyuán摘果zhāiguǒ)

 

4 大鵬dàpéng展翅zhǎnchì)

1. 旋右xuányòuzuò)

2. 猿閃yuánshǎn左盤zuǒpán)

3. 金鷄jīnjī獨立dúlì)<>

4. 靈猿língyuán指日zhǐrì)

5. 鹿仰lùyǎng回顧huígù)

6. 熊運xióngyùnyāokuà)

7. 金鷄jīnjī獨立dúlì)<>

8. xi牛望niúwàngyuè)<>

9. xi牛望niúwàngyuè)<>

10.白鶴báihè抱丹bàodān)

11.猿理yuánlǐ三焦sānjiāo)

12.熊蠕臟腑xióngrúzàngfǔ)

13.猛虎měnghǔ下山xiàshān)

14.引右yǐnyòupán)

15.白鶴báihè拗步àobù)

16.熊靠xióngkào虎踞hǔjù)

 

5 孔雀kǒngquè開屛kāibǐng)

1. 猿臂yuánbei反伸fǎnshēn)<>

2. 熊運肩xióngyùnjiānkuà)

3. 虎掌hǔzhǎngzhuāpū)

4. 白鶴báihèchángxiōng)

5. 鴟眼chīyǎn顧盼gùpàn)

6. 白蟒báimǎng翻身fānshēn)

7. 黑熊hēixióng倒攀dǎopān)

<전신안마>

8.猿臂yuánbei反伸fǎnshēn)<>

9. 靈猿língyuán摘果zhāiguǒ

 

6.喜鵲xǐquè登枝dēngzhī)

1. 虎撲hǔpū鹿奔bēn)

2. 右鶴yòuhè獨立dúlì)

3. 蹬蹄dēngtí)<>

4. xióng左盤zuópánzuò)

5. 左鶴zuǒhè獨立dúlì)

6. 蹬蹄dēngtí)<>

7. yuányòu打虎dǎhǔ)

8. xióng左抗zuǒkàngkào)

9. 拗步鳥àobùniǎoshēn)

10.虎撲hǔpū反捶fǎnchuí)

11.鹿旋lùxuán左盤zuǒpán)

12.熊右xióngyòukàngkào)

13.xióng左抗zuǒkàngkào)

14.猿閃yuánshǎn鹿引lùyǐn)

15.yòu轉虎zhuànhǔzuò)

16.qián後虎hòuhǔzhǎng)

17.白鶴báihè飛翔fēixiáng)

 

7 丹鳳dānfèng朝陽cháoyáng)

1. 猿臂yuán左擧zuǒjǔ)

2. 抓下zhuāxiàzuò)

3. 鶴展hèzhǎn右翅yòuchì)

4. 右運yòuyùn熊經xióngjīng)

5. 左揉zuǒrou鹿頸lùjǐng)

6. 猿臂yuán左擧zuǒjǔ)

7. 抓下zhuāxiàzuò)

8. 猿臂yuán右擧yòujǔ)

9. 轉身zhuànshēn收勢shōushì)

 

8 收功shōugōng)

1. 旋揉xuánrou鹿頸lùjǐng

2. 熊晃xiónghuàng鴟顧chīgù)

3. 仙狐xiānhú拜月bàiyuè)

'기공 (국선도) > 기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근경(易筋經)  (0) 2015.04.17
역근경 개술  (0) 2015.04.17
(건신기공)오금희(五禽戲)  (0) 2015.04.01
육자결(六字訣)  (0) 2015.03.18
서심평혈공  (0) 2015.02.16